[AWS] Amazon Linux 2023에서 Tableau Server 구축

2024. 11. 16. 11:13·Infra/AWS

Amazon Linux 2023에서 Tableau Server 구축

사용한 EC2 정보

  • ami : ami-02c329a4b4aba6a48 (Amazon Linux 2023 AMI)
  • instance_type : m5.4xlarge (4 Core(8 vCPU), 16GB RAM)

주의할 점 (1) : 최소 사양

  • Tableau Server 사용 시 최소 사양은 4 Core(8 vCPU), 16GB RAM, 여유 공간 15GB
  • 최소 사양이 충족되지 않으면 알람을 띄우고 설치가 진행되지 않으니 주의

Tableau Server 최소 사양 정보

주의할 점 (2) : Private Subnet이 아닌 Public Subnet

  • 최근 Tableau Server를 Private으로 사용하려고 시도했다가 실패 (시행착오)
    • Nginx로 Bastion Host로 Proxy 하여 웹 접근까지 성공했지만, 웹 로그인 작동 X
    • 혹시 다른 방법을 알고 계시거나 성공하신 분이 있다면 공유 부탁드려요..
  • 결론적으로 아래의 방법은 Public Subnet에 위치한 EC2일 경우에만 정상 작동

Tableau Server 구축 과정

사용할 Tableau Server 버전 선택

  • Tableau Server 설치 공식 페이지에 접속해 원하는 버전을 선택

Tableau Server 버전

  • 버전 선택 후 아래로 스크롤을 내리다 보면, 버전에 따른 설치 파일을 찾을 수 있음
    • 버전을 그대로 사용해도 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원하지 않는 버전이 될 수 있음

# 설치 파일 링크 (관리자 도구(F12)로 찾음)
https://downloads.tableau.com/esdalt/2024.2.4/tableau-server-2024-2-4.x86_64.rpm

EC2에 Tableau Server 구축을 위한 bash 코드

  • 설치 과정은 링크를 참고하여 작성
  • 참고
    • initialize-tsm의 경우 시간이 조금 걸림
    • ~/packages/scripts. 뒤의 숫자 (경로)는 다를 수 있음
sudo su

# 최상단 경로에 디렉터리 생성 및 Tableau Server 설치 파일 가져오기
mkdir /tableau & cd /tableau
wget https://downloads.tableau.com/esdalt/2024.2.4/tableau-server-2024-2-4.x86_64.rpm

# Tableau Server 설치
yum update -y && yum install ./tableau-server-2024-2-4.x86_64.rpm

# Tableau 초기화 및 서버 실행
localectl set-locale LANG=ko_KR.UTF-8
cd /opt/tableau/tableau_server/packages/scripts.20242.4.0610.0336/
./initialize-tsm --accepteula
source /etc/profile.d/tableau_server.sh

# Tableau 관리자 계정 생성 및 비밀번호 설정
useradd manager -G tsmadmin
passwd manager

Tableau Web 접속

  • 아래의 코드로 관리자 페이지 접속 포트 확인 가능
netstat -antup | grep LISTEN
  • 위의 bash 코드를 모두 실행하면, Tableau Web에 접속 가능
    • 접속이 안된다면, 해당 EC2의 보안 그룹에 8850 포트 추가
    • Tableau의 경우 https로 접속하며, 안전하지 않은 사이트로 인식할 수 있음
https://<EC2_Public_IP>:8850

Tableau 관리자 페이지

Reference

https://1mini2.tistory.com/116

https://help.tableau.com/current/server-linux/ko-kr/server_hardware_min.htm

'Infra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mazon Linux 2023에서 Python 및 가상 환경 구성 (Feat. Terraform)  (0) 2024.11.27
[AWS] EC2 Ubuntu에서 metabase 구축  (0) 2024.11.23
[AWS] AWS Glue의 개념과 구성 요소  (0) 2024.07.17
[AWS] Amazon VPC (Virtual Private Cloud) 개념과 구성 요소  (0) 2024.07.03
[AWS] AWS 서비스 종료 후에도 VPC 비용 발생 문제 해결  (1) 2024.05.21
'Infra/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WS] Amazon Linux 2023에서 Python 및 가상 환경 구성 (Feat. Terraform)
  • [AWS] EC2 Ubuntu에서 metabase 구축
  • [AWS] AWS Glue의 개념과 구성 요소
  • [AWS] Amazon VPC (Virtual Private Cloud) 개념과 구성 요소
기억에 남는 블로그 닉네임
기억에 남는 블로그 닉네임
  • 기억에 남는 블로그 닉네임
    얕게, 깊게
    기억에 남는 블로그 닉네임
  • 전체
    오늘
    어제
  • 블로그 메뉴

    • 홈
    • 방명록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N
      • Data Engineering
        • Airflow
        • 빅데이터
        • 자동화
        • 기타
      • Infra
        • AWS
        • Terraform
        • [인프라 구축기] Terraform 활용 AWS ..
      • CS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네트워크
        • 데이터베이스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 Python
      • Web
      • Git
      • 기타 N
        • 취업 & 진로
        • 회고록 N
        • 기타
      • 프로젝트 단위 공부
        • [부스트코스] DataLit : 데이터 다루기
        • [개인 프로젝트] 공모전 크롤링
        • [개인 프로젝트] FC Online 공식 경기 분..
        • 프로젝트 개선 방안
      • [프로그래머스] 데이터 엔지니어링 데브코스 3기
        • TIL(Today I Learn)
        • 숙제
        • 기타
      • 알고리즘 연습
        • 프로그래머스
        • 백준
  • 링크

    • 깃허브
    • 링크드인
  • 인기 글

  • 최근 글

  • 최근 댓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기억에 남는 블로그 닉네임
[AWS] Amazon Linux 2023에서 Tableau Server 구축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