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HTTP는 텍스트 기반의 통신 규약으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계층의 최상단인 Application Layer에 해당하며, Client-Server 모델을 바탕으로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에서 데이터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여기서는 HTTP에 대한 자세한 내용보다는 HTTP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프로토콜(Protocol) : 웹 상에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약속/규약클라이언트(Client) : 정보를 요청하는 컴퓨터서버(Server) : 정보를 제공하는 컴퓨터 HTTP 동작사용자가 브라우저를 통해 URL을 통하거나 다..
동적 계획법(Dynamic Programming, DP)이란?동적 계획법이란 하나의 큰 문제를 여러 개의 작은 부문제로 나누고, 그 결과를 저장하여 다시 큰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하는 기법이다.동적 계획법 vs 재귀적 호출재귀적 호출일반적인 재귀 방식은 동적 계획법과 매우 유사하다. 단, 재귀를 사용 시 동일한 작은 문제가 여러 번 반복되어 비효율적인 계산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피보나치 수열을 살펴보자. 각 항을 구하기 위해 f(1), f(0)이 등장할 때까지 계속해서 반환하고, 더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또한 값을 따로 저장해두지 않기 때문에 이전에 구했던 값을 다시 처음부터 계산한다. 이러한 계산 방식 때문에 구하는 항이 증가함에 따라 계산 횟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1, 1, 2..
힙(Heap)이란?힙(Heap)이란 최댓값/최솟값을 빠르게 찾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루트 노드가 언제나 최댓값(최대 힙) 또는 최솟값(최소 힙)을 가지는 완전 이진트리(Complete Binary Tree)이다. 일반적인 리스트를 활용하여 최댓값/최솟값을 찾기 위한 max()/min() 함수의 시간 복잡도는 O(n)이다. 그러나 힙을 사용하면 O(log n)으로 수행이 가능하며, 정렬도 O(n log n)의 빠른 속도로 가능하다. 연산에 대한 자세한 이해보다는 힙에 대한 개념과 파이썬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완전 이진 트리(Complete Binary Tree)마지막 레벨(Level)을 제외한 모든 레벨은 완전히 채워져 있는 이진트리이다. 삽입 연산을 수행할 경우 마지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