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

Infra/[인프라 구축기] Terraform 활용 AWS 인프라 구축

인프라 구축기 (12) - S3에 있는 Terraform 상태 파일 활용하기

인프라 구축기인프라 구축기 (9)에서 Terraform의 .tfstate 파일을 삭제하는 이슈가 있었다. 이때 배운 것 중 하나가 원격 저장소를 활용한 Terraform 상태 파일 관리였다. 그래서 원격 저장소인 AWS S3에 상태 파일을 두고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작성 중인 Terraform 코드에 적용해볼 것이다. 인프라 구축기 (9) - Terraform terraform.tfstate 삭제 이슈인프라 구축기Terraform으로 aws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던 중 큰 문제 하나를 마주쳤다. 실수로 Terraform의 상태 파일인 terraform.ftstate를 삭제한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해당 이슈를 해결한 과정sanseo.tistory.com각 디렉터리에 terraform.tf 파일 ..

Infra/[인프라 구축기] Terraform 활용 AWS 인프라 구축

인프라 구축기 (11) - lambda IAM role 수정

인프라 구축기인프라 구축기 (8)에서 lambda의 IAM role을 설정할 때, 아래와 같이 AmazonEC2FullAcess와 AmazonRDSFullAccess를 적용하였다. 인프라 구축기 (10)에서 instance와 storage의 IAM role을 Terraform으로 적용할 때는 AmazonS3FullAccess를 사용하였다. 그런데 instance와 storage에서 같은 정책인 AmazonS3FullAccess를 사용하고, 하나를 apply 하면 다른 하나의 역할에서 정책이 사라져 버리는 이슈가 생겼다. "aws_iam_policy_attachment"를 적용할 때, roles나 users가 추가되는 것이 아니라 갱신되는 형태인 것 같았다. 종류 (lambda, storage, insta..

Infra/[인프라 구축기] Terraform 활용 AWS 인프라 구축

인프라 구축기 (10) - IAM 생성 코드 추가

인프라 구축기이전에 인프라 구축기 (3)에서 Terraform 코드를 작성할 때, 인스턴스에 사용되는 IAM 역할과 사용자는 AWS 웹에서 생성한 뒤 apply 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었다. Terraform으로 관리되는 리소스에게 필요한 IAM도 Terraform으로 관리하기 위해 각 디렉터리 (instance, storage)에 iam.tf를 생성하고, 리소스에 필요한 IAM을 생성하는 코드를 작성하였다. lambda에서 필요한 IAM의 경우 인프라 구축기 (8) 작성하였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인프라 구축기 (3) - Terraform을 활용한 Instance, Storage 구성인프라 구축기인프라 구축기 (2)에서 Terraform을 활용하여 VPC를 구성하는 코드를 작성하였다. 이어서 Inst..

Infra/[인프라 구축기] Terraform 활용 AWS 인프라 구축

인프라 구축기 (9) - Terraform terraform.tfstate 삭제 이슈

인프라 구축기Terraform으로 aws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던 중 큰 문제 하나를 마주쳤다. 실수로 Terraform의 상태 파일인 terraform.ftstate를 삭제한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해당 이슈를 해결한 과정을 담아보려고 한다.terraform.tfstate 개념과 삭제 이슈terraform.tfstate 개념terraform.tfstate 파일은 Terraform이 관리하는 인프라의 현재 상태를 기록하는 핵심 파일이다. 이 파일은 인프라가 Terraform 구성과 어떻게 일치하는지, 어떤 리소스가 실제 클라우드 환경에 존재하는지 파악하는 데 필수적이다. 즉, 이 파일을 통해 어떤 리소스가 클라우드에 생성돼 있고 apply 시 생성/변경/삭제할 리소스가 무엇인지 인식한다.삭제 이슈정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