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구축기인프라 구축기 (3)까지 진행하면서 Terraform을 활용해 인프라 구성을 완료하였다. 이번엔 VPC 내부의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해보려고 한다. 특히 보안 그룹이 제대로 설정돼있지 않으면 접근이 불가능하다. 인프라 구축기 (4)에서는 Bastion Host를 통해 Redshift, RDS, Airflow (ec2)에 접근이 가능한지 확인해보려고 한다. 인프라 구축기 (3) - Terraform을 활용한 Instance, Storage 구성인프라 구축기인프라 구축기 (2)에서 Terraform을 활용하여 VPC를 구성하는 코드를 작성하였다. 이어서 Instance와 Storage를 구성하는 코드를 작성해 볼 것이다. 추가로 vpc, instance, storage 폴더로 구분하sa..
인프라 구축기인프라 구축기 (2)에서 Terraform을 활용하여 VPC를 구성하는 코드를 작성하였다. 이어서 Instance와 Storage를 구성하는 코드를 작성해 볼 것이다. 추가로 vpc, instance, storage 폴더로 구분하여 각 역할에 맞게 분리하고, 하나의 파일 실행으로 인프라 구성이 진행되도록 해보려고 한다. 인프라 구축기 (2) - Terraform을 활용한 VPC 구성 코드 작성인프라 구축기인프라 구축기 (1)에서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인프라 아키텍처와 어떤 용도로 사용하는지 정리하였다. 이제 구성한 인프라를 Terraform으로 관리하기 위해 간단한 공부를 진행하고, sanseo.tistory.com최종 파일 구조최종적인 파일 구조는 다음과 같다. instance, storag..
인프라 구축기인프라 구축기 (1)에서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인프라 아키텍처와 어떤 용도로 사용하는지 정리하였다. 이제 구성한 인프라를 Terraform으로 관리하기 위해 간단한 공부를 진행하고,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위한 코드를 작성해 볼 것이다. [AWS] 인프라 구축기 (1) - 개요, 아키텍처 소개인프라 구축기인프라 구축기 개요인프라 구축 개요데이터 엔지니어링 데브코스 3기를 진행하면서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위한 AWS 인프라를 구축했었지만, 네트워크나 보안, 비용 등 관리 측면의sanseo.tistory.comTerraform 설치 및 기본 사용법Terraform 설치 방법과 사용되는 자주 쓰이는 명령어는 아래에 정리하였다.Terraform 설치 방법 (Windows)Terraform 개념과 자주 쓰이..
Terraform 개념과 자주 쓰이는 명령어Terraform 개념Terraform 이란?HCL (Hashicorp Configuration Language)를 사용해 클라우드 리소스를 선언할 수 있는 오픈소스 툴일관된 워크플로를 사용하여 라이프사이클 전체에 걸쳐 모든 인프라를 프로비저닝 및 관리AWS, GCP, Azure와 같은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원Terraform WorkflowWrite : 코드 형태로 리소스 정의Plan : Terraform은 기존 인프라와 구성에 따라 생성, 업데이트 혹은 삭제할 인프라 설정Apply : 리소스의 종속성을 확인하여 올바른 순서로 제안된 작업을 수행Terraform 명령어tarraform initTerraform 프로젝트 초기화프로젝트에서 사용할 플러그인,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