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현
개념 정리
피지컬로 승부하기
- 코딩 테스트에서 구현이란 '머릿속에 있는 알고리즘을 소스코드로 바꾸는 과정'
-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을 이해하고 문제의 답안 코드를 실수 없이 작성해야 함
- 프로그래밍 문법을 숙지하지 못했거나, 라이브러리 사용 경험이 부족하면 불리
- 완전 탐색 : 모든 경우의 수를 주저 없이 다 계산하는 해결 방법
- 시뮬레이션 : 문제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을 한 단계씩 차례대로 직접 수행
변수의 표현 범위
- C / C++ / Java : int, long long 등 종류에 따라 표현 범위가 달라짐
- Python : 프로그래머가 직접 자료형을 지정할 필요가 없고 큰 수의 연산을 기본으로 지원
파이썬 리스트 크기
- 대체로 코딩 테스트에서는 128 ~ 512MB로 메모리를 제한
- 파이썬은 시스템 내부적으로 아래와 유사한 크기의 메모리 차지
- 크기가 1,000만 이상인 리스트가 있다면 메모리 용량 제한으로 틀릴 수 있음
채점 환경
- 파이썬은 C / C++ 보다 동작 속도가 느리기에 C / C++ 보다 긴 수행 시간제한을 적용
- 시간제한과 데이터의 개수로 어느 정도의 시간 복잡도의 알고리즘으로 풀지 예측할 수 있어야 함
- 2020년 기준으로 Python 3.7 코드를 작성
- 1초에 2,000만 번의 연산을 수행한다고 가정하고 문제를 풀면 실행 시간제한에 안정적
- 예) 시간제한 : 1초, 데이터의 개수 : 100만 개 : O(NlogN) 이내의 알고리즘으로 문제를 풀어야 함
예제 : 상하좌우
문제
여행가 A는 N * N 크기의 정사각형 공간 위에 서 있다. 이 공간은 1 * 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다. 가장 왼쪽 위의 좌표는 (1, 1)이며, 가장 오른쪽 아래의 좌표는 (N, N)이다. 여행가 A는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시작 좌표는 항상 (1, 1)이다. 계획서에는 하나의 줄에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하여 L, R, U, D 중 하나의 문자가 반복적으로 적혀 있다. 이때, 여행가 A가 N * N 크기의 정사각형을 벗어나는 움직임은 무시된다.
L : 왼쪽으로 한 칸 이동, R :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U : 위로 한 칸 이동, D : 아래로 한 칸 이동
- 입력 조건
- 첫째 줄에 공간의 크기를 나타내는 N이 주어짐 (1 <= N <= 100)
- 둘째 줄에 여행가 A가 이동할 계획서 내용이 주어짐 ( 1 <= 이동 횟수 <= 100)
- 출력 조건
- 첫째 줄에 여행가 A가 최종적으로 도착할 지점의 좌표 (X, Y)를 공백으로 구분하여 출력
해설
- 연산 횟수는 이동 횟수에 비례 : 시간 복잡도는 O(N)
- 일련의 명령에 따라 개체를 이동시킨다는 점에서 시뮬레이션 유형
n = int(input())
move = list(input().split())
pos = [1, 1]
for m in move:
if m == 'L' and pos[1] != 1:
pos[1] -= 1
elif m == 'R' and pos[1] != n:
pos[1] += 1
elif m == 'U' and pos[0] != 1:
pos[0] -= 1
elif m == 'D' and pos[0] != n:
pos[0] += 1
print(pos[0], pos[1])
예제 : 시각
문제
정수 N이 입력되면 00시 00분 00초부터 N시 59분 59초까지 모든 시각 중에 3이 하나라도 포함되는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1을 입력했을 때 다음은 3이 하나라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세어야 하는 시각이다.
- 00시 00분 03초, 00시 13분 30초
반면 다음은 3이 하나도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세면 안 되는 시각이다.
- 00시 02분 55초, 01시 27분 45초
- 입력 조건
- 첫째 줄에 정수 N 입력 (0 <= N <= 23)
- 출력 조건
- 00시 00분 00초부터 N시 59분 59초까지의 모든 시각 중 3이 하나라도 포함되는 모든 경우의 수 출력
해설
- 모든 시각의 경우를 하나씩 모두 세서 쉽게 풀 수 있음
- 이런 유형은 완전 탐색 유형으로 분류
- 비효율적인 시간 복잡도 때문에 데이터 개수가 큰 경우 정상 작동하지 않을 수 있음
- 일반적으로 데이터 개수가 100만 개 이하일 때 완전 탐색을 사용하면 적절
n = int(input())
count = 0
for h in range(n + 1):
for m in range(60):
for s in range(60):
if '3' in str(h) + str(m) + str(s):
count += 1
print(count)
실전 문제 : 왕실의 나이트
문제
행복 왕국의 왕실 정원은 체스판과 같은 8 * 8 좌표 평면이다. 왕실 정원의 특정한 한 칸에 나이트가 서 있다. 나이트는 말을 타고 있기 때문에 이동할 때는 L자 형태로만 이동할 수 있고, 정원 밖으로는 나갈 수 없다. 나이트는 특정한 위치에서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로 이동할 수 있다.
1. 수평으로 두 칸 이동한 뒤 수직으로 한 칸 이동하기
2. 수직으로 두 칸 이동한 뒤 수평으로 한 칸 이동하기
나이트의 위치가 주어졌을 때,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으로 작성하시오. 이때 왕실의 정원에서 행 위치를 표현할 때는 1부터 8로 표현하며, 열 위치를 표현할 때는 a부터 h로 표현한다.
- 입력 조건
- 첫째 줄에 8 * 8 좌표 평면상에서 현재 나이트가 위치한 곳의 좌표를 두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 입력
- 출력 조건
- 첫째 줄에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 출력
해설
- 책에서는 ord를 사용하여 col을 int로 변경
pos = input()
move = [(-2, 1), (-2, -1), (2, 1), (2, -1), (1, 2), (-1, 2), (1, -2), (-1, -2)]
row = int(pos[1])
# col = int(ord(pos[0])) - int(ord('a')) + 1
for i, col in enumerate(['a', 'b', 'c', 'd', 'e', 'f', 'g', 'h'], start=1):
if col == pos[0]:
col = i
break
count = 0
for m in move:
if (1 <= col + m[0] <= 8) and (1 <= row + m[1] <= 8):
count += 1
print(count)
실전 문제 : 게임 개발
문제
현민이는 게임 캐릭터가 맵 안에서 움직이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캐릭터가 있는 장소는 1 * 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이뤄진 N * 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각 칸은 육지 또는 바다이다. 캐릭터는 동서남북 중 한 곳을 바라본다.
맵의 각 칸은 (A, B)로 나타낼 수 있고, A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B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캐릭터는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 바다로 되어 있는 공간은 갈 수 없다. 캐릭터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매뉴얼은 다음과 같다.
1.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부터 차례대로 갈 곳을 정한다.
2. 캐릭터의 바로 왼쪽 방향에 아직 가보진 않은 칸이 존재한다면, 왼쪽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왼쪽으로 한 칸을 전진한다. 왼쪽 방향에 가보지 않은 칸이 없다면, 왼쪽 방향으로 회전만 수행하고 1단계로 돌아간다.
3. 만약 네 방향 모두 이미 가본 칸이거나 바다로 되어 있는 칸인 경우 바라보는 방향을 유지한 채로 한 칸 뒤로 가고 1단계로 돌아간다. 단, 이때 뒤쪽 방향이 바다인 칸이라 뒤로 갈 수 없는 경우에는 움직임을 멈춘다.
현민이는 위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캐릭터의 움직임에 이상이 있는지 테스트하려고 한다. 매뉴얼에 따라 캐릭터를 이동시킨 뒤에 캐릭터가 방문한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드시오.
- 입력 조건
- 첫째 줄에 맵의 세로 크기 N과 가로 크기 M을 공백으로 구분하여 입력 (3 <= N, M <= 50)
- 둘째 줄에 게임 캐릭터가 있는 칸의 좌표 (A, B)와 바라보는 방향 d가 서로 공백으로 구분하여 주어짐
- 셋째 줄부터 맵이 육지인지 바다인지에 대한 정보가 주어짐, 맵의 외곽은 항상 바다
- (처음 게임 캐릭터가 위치한 칸의 상태는 항상 육지)
- 방향 d : 북쪽(0), 동쪽(1), 남쪽(2), 서쪽(3) / 맵 상태 : 육지(0), 바다(1)
- 출력 조건
- 첫째 줄에 이동을 마친 후 캐릭터가 방문한 칸의 수를 출력
해설
- 맵의 외곽은 항상 바다로 구성되어 있음
- 풀이 방식은 다르지 않지만, 책과는 다르게 작성
n, m = map(int, input().split())
a, b, d = map(int, input().split())
game_map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m)]
move = [(-1, 0), (0, 1), (1, 0), (0, -1)]
count = 1
game_map[a][b] = 1
turn_time = 0
while True:
turn_time += 1
d = (d - 1) % 4
if game_map[a + move[d][0]][b + move[d][1]] == 0:
game_map[a + move[d][0]][b + move[d][1]] = 2
a += move[d][0]
b += move[d][1]
count += 1
turn_time = 0
if turn_time == 4 and game_map[a - move[d][0]][b - move[d][1]] != 1:
a -= move[d][0]
b -= move[d][1]
turn_time = 0
elif turn_time == 4 and game_map[a - move[d][0]][b - move[d][1]] == 1:
break
print(count)
'프로젝트 단위 공부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7. 이진 탐색 (0) | 2024.07.06 |
---|---|
Chapter 6. 정렬 (0) | 2024.07.04 |
Chapter 5. DFS & BFS (0) | 2024.06.18 |
Chapter 3. 그리디 (0) | 2024.06.12 |